영화

듄 세계관 가문 용어

척척박사23-1 2023. 8. 17. 07:00
반응형

1. 듄 시리즈의 화려한 시작

 
2021년에 개봉하였습니다. 그 거대한 세계관 때문에 155분의 러닝타임으로 출발한 첫 번째 영화는 세계관의 소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습니다. 원작 소설이 있으며 두터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드니 빌뇌브 감독이 참여하였고, 티모시 샬라메, 젠데이아 등 떠오르는 어린 배우들과 함께 레베카 페르구손, 오스카 아이작, 조시 브롤린, 스텔란 스카스가드, 데이브 바티스타, 스티븐 맥킨리 헨더슨 등 다수의 배우들이 대거 출연하였습니다. 매끄럽고 웅장한 CG효과로 놀라운 영상미를 보여주었으며, 후속작은 2024년 3월 경 개봉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듄은 우주를 배경으로 각 행성을 지배하는 유력한 가문들과 황제가 있는 중세시대와 비슷한 계급구조를 차용하고 있습니다. 유력한 가문들로는 주인공 폴이 속해있는 아 프레이데스 가문, 이와 대적하는 하코넨 가문이 나오고 황제는 이 두 가문을 저울질하며 자신의 세력을 지키려고 합니다. 
사막행성 아리키스에는 스파이스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는 이 행성에서만 나는 신비의 물질로 노화를 늦추고 예지력과 두뇌활동은 높이는 신비한 환각제입니다.  우주여행에 반드시 필요하여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2. 듄의 내용

 
아트레이데스 가문은 황제의 명령으로 사막행성 아라키스로 향하게 됩니다. 주인공 폴은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후계자로 그의 어머니 제시카는 베네 게세리트입니다. 베네 게세리트들은 초능력을 가지고 있고 그들의 집단은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비밀스럽고 정체를 알 수 없습니다.  그들은 폴을 시험하고 폴이 시험을 통과하자 그를 메시아와 같은 존재인 퀴사츠 해더락으로 만들 준비를 합니다.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아라키스 행성에 도착하고, 행성의 현지인들은 베네게세리트들의 준비대로 폴을 메시아라고 부릅니다. 아라키스에서는 신비의 물질인 스파이스가 생성되고, 이를 수확하여 납품하는 것이 아트레이데스 가문이 앞으로 해야 할 일입니다. 그러나 사막환경은 변화무쌍하고 납품량을 맞추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이 모든 것이 납품량을 맞추지 못한다는 핑계로 아트레이데스를 벌하려는 황제의 함정임을 깨닫고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수장인 레토는 고민에 휩싸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밤 중에 황제와 손잡은 하코넨 가문이 아라키스를 공격하고, 배신자로 인해 방어능력을 상실한 아트레이데스 가문은 몰살당합니다. 겨우 탈출한 폴과 제시카는 사막을 표류하고, 스파이스에 오래 노출된 폴은 퀴사츠 헤더락으로서의 능력을 각성하며 계속해서 예지몽을 꾸게 됩니다. 예지몽은 절망적인 내용으로 전개되어, 미래에 광신도들로 인해 발생하는 종교전쟁을 보여주었고, 폴은 이 모든 것이 자신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합니다. 또한 예지몽 속에선 사막의 부족인 프레멘의 소녀 차니가 계속 등장합니다.
 
사막에서 많은 어려움을 헤처 나가던 폴과 제시카는 프레멘들을 만나고 그들과의 결투 끝에 프레멘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고, 폴은 예지몽에 나왔던 소녀 차니를 만납니다. 폴은 프레멘들이 살아가고 싸우는 방식을 배우며, 그 안에서 길을 찾기로 합니다.
 

3. 듄 2에 대한 기대

 
듄 1은 앞서 설명했듯 거대한 세계관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긴 러닝타임에 비해 많은 이야기를 담지는 못했습니다. 이 부분에서 듄 1에 대한 평가가 갈리고 있으나 필자는 듄 2는 보아야 듄이라는 영화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 평가를 보류하고 있습니다. 
 
듄 2는 2023년 11월 개봉을 앞두고 있었으나, 할리우드 노조 파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2024년으로 개봉이 미뤄질 수 있음이 시사되었습니다. 
 
듄 1에서 화려한 영상미로 관객을 압도하는 웅장함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듄 2가 개봉한다면 반드시 IMAX화면으로 영화관에서 감상할 계획입니다. 반드시 영화관에서 관람해야 하는 영화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전편을 보지 않고 관람해도 무방한 영화들이 많이 있지만, 듄만큼은 전편을 보고 가실 것을 추천합니다. 사전정보 없이 관람 시 이해가 어려울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응형